반응형
쿠버네티스 현재 컨텍스트와 네임스페이스 정보를 한 번에 확인하기! 입니다.
멀티클러스터 환경이라 클러스터도 왔다갔다하고 네임스페이스도 왔다갔다 하면서 작업하는 편인데요,
그러다 보니 잠시 다른 작업을 하다 터미널을 다시 잡았을 때
내가 지금 어디서 작업하고 있었더라...?
하는 생각을 하게 되는 일이 종종 발생합니다.
생각보다 그런 일이 잦아서 아예 alias로 등록해서 쓰고 있는데,
저만 이렇게 작업환경을 깜빡하는 건 아닌 듯 하여 공유합니다 :)
# 본인이 사용하는 환경(ex. ~/.bashrc 등)에 맞추어 터미널 설정을 열어 줍니다.
vi ~/.zshrc
원하는 공간(아무래도 alias들이 모여있는 쪽이 좋겠죠)에 아래와 같이 지정합니다.
alias wmi="kubectl config current-context && kubectl config view --minify | grep namespace:"
# wmi는 Where Am I를 대충 줄인건데 다른 alias명을 원하시면 저 부분을 수정해 주시면 됩니다.
# 저장 후 source로 반영합니다.
source ~/.zshrc
이렇게 하고 터미널에서 wmi(혹은 등록하신 알리아스명)을 입력하면
위와 같이 작업 중인 컨텍스트(클러스터)명과 네임스페이스가 함께 출력됩니다 :)
넘 소소한데.. 저는 편안하게 잘 쓰고 있어서 공유합니다.
클러스터 전환이나 네임스페이스 전환은 저런거 등록하지 마시고 kubectx, kubens 깔고 편안하게 삽시다 !!^_^ 그리고 이미 저 두개를 쉘에서 바로 보여주는것도 설치할 수 있게 나와있지만...저는 커맨드파입니다👀👍
반응형
'DevOp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traceroute로 목적지까지 거치는 경로 확인하기 (0) | 2021.08.14 |
---|---|
Jenkins 여러 잡에 동시에 파라미터 주입하기, 여러 프로젝트 설정 동시 변경(mass configuration update) (0) | 2021.07.11 |
Ubuntu 리눅스 - 서버에 연결된 connection(트래픽) 수 확인 (2) | 2021.07.04 |
[이럴땐이렇게] Kubernetes,K8s - 여러 컨텍스트 파일 동시에 사용하기 (2) | 2021.06.12 |
이중화(혹은 다중화) 환경에서의 로드밸런싱: 왜 새로고침할 때마다 로그인을 하지 않아도 될까? (2) | 2021.06.05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