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Hibernate ddl-auto 설정값에 따른 차이입니다.
create: 기존 테이블을 삭제 후 다시 생성
create-drop: 종료 시점에 테이블을 드랍함
update: 변경분 반영
validate: entity와 테이블이 정상 매핑되었는지만 확인
none: ddl 옵션을 사용하지 않음
(실 서비스에서는 보통 none처리)
서버 내릴때마다 자꾸 데이터가 날아가서 찾아보니까 create 옵션도 기본테이블값을 싹다 날려버린다는것^_^
날 돕는것: 구글, stackoverflow, 누군가의 오래된 블로그
링크:
Social Q&A LibQA™
libqa 는 글라이더 오픈소스팀이 만든 소셜 기반의 Q&A 지식공유 Wiki 플랫폼입니다.
www.libqa.com
반응형
'Development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Java Application session timeout 설정과 우선순위 (0) | 2021.06.05 |
---|---|
200828 TIL: Python - SMTP를 이용한 메일 발송 (0) | 2020.08.28 |
[이럴땐이렇게] Spring boot application.yml 파일 mapping value 에러발생 시 (yaml syntax) (1) | 2020.08.18 |
200814 Spring Security 구현 (0) | 2020.08.14 |
200811 Spring MVC를 이용한 블로그 시스템 1.0 (0) | 2020.08.11 |